1.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컴퓨터이며, '역할의 개념'으로 나뉜다.
서버 :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클라이언트 : 서버가 제공하는 것을 받아 사용하는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도 서버 역할을 할 수는 있음)
2. 데이터 센터( IDC = Internet Data Center )
서버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적합한 하드웨어 성능, 해킹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하다.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하고, 정전이나 화재에 빠르게 대처해야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갖춘 전문 시설을 '데이터 센터'라고 한다.
- 데이터 센터 : 수많은 서버를 한 곳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시설
데이터 센터를 소유하지 않은 기업이나 개인에게 센터 안의 서버를 임대해주는 데이터 센터도 있다. 그러한 임대 서비스를 '서버 호스팅'이라고 한다.
- 서버 호스팅 : 서버용 컴퓨터를 대여해주는 서비스
하지만 서버 호스팅 같은 경우, 외부의 컴퓨터가 서버를 관리 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회사들에게는 리스크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회사드르이 경우 자체적으로 서버를 갖추고 관리하기 위해 온프레미스 서버를 사용한다.
- 온프레미스 :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회사들의 경우 호스팅을 외부 데이터 센터에 두지 않고 사내 전산실에 서버를 갖추고 관리하는 것을 말함
[ 서버 호스팅의 단점 ]
1. 사용 가능한 용량이 한정적이다.
-> 접속자가 한꺼번에 몰리면 컴퓨터가 다운될 수 있다.
2.서버에 대한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
->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해야한다.
3.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서버, 저장소, 데이터 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컴퓨팅 서비스를 인터넷(클라우드)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컴퓨터 한 대를 통째로 임대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수많은 컴퓨터를 클라우드 형태로 합친 다음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만큼 작은 조각들로 떼어서 임대한다.
ex)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구글의 GCP
네이버의 NCP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서버호스팅의 단점을 보완한다.
사용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에 필요한 어려운 기술적 요소를 제공받을 수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서버를 가상화하여 각종 편의 기능과 함께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3-1.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1. IaaS( 이아스, 아이아스 = Infrastructure-as-a-Service) - 단순 호스팅과 비슷함.
: 서버용 인프라, 가상화된 서버 컴퓨터를 대여해 주는 서비스
➡️ 이용자가 보안,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설치, 서비스 실행 및 관리를 직접 수행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자유도가 높지만 손이 많이 가는 서비스이다.
AWS의 EC2
2. PaaS( 파스 = Platform-as-a-Service )
: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 서버, 운영체제, 개발 환경 등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 할 수 있도록 한다.
인프라 구축과 유지 비용을 고려할 필요 없이 손쉽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배포 할 수 있다.
AWS의 일래스틱 빈스토크
헤로쿠
3. SaaS( 싸스 = Software-as-a-Service )
: 소프트웨어가 이미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
인프라나 개발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사용료만 지불하면 된다. 따라서 초기 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불필요한 기능이 비용에 포함되어있다는 단점이 있다.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N클라우드
드롭박스
MS 오피스365
참고 :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공부한 내용 정리 > CS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기초 ] 패키지 매니저, 환경 변수, 런타임 환경 (0) | 2022.11.18 |
---|---|
[CS기초] CPU( 코어, 스레드, 클럭), 메모리 (0) | 2022.11.14 |
[ CS 기초 ] 프론트엔드, 백엔드, API, XML, JSON, YAML (1) | 2022.11.10 |